 |
↑ 자료사용 |
[서울포스트 량기룡 기자=] 사실, 인류역사에서 로마제국부터 현시대 영국,미국,스페인 등의 서구 선진민주주의란 나라들은 지구상 다른 나라들 간 분쟁과 전쟁,갈등의 직접적인 원인이었다. 그들은 침략과 약탈로 자신들의 배를 충분히 채운 다음 현대에 이르러 인권과 자유,민주를 외치며 그간 부른 배를 유지하기에 이르렀다. 그들은 신사를 자처하며 그들 박물관에 다른 나라로 착취한 전리품으로 넘친다. 진행중인 동남아의 비극 미얀마(구 버마) 로힝야족 인종문제도 인도를 지배했던 영국이 원인, 엊그제부터는 미국,이란 간 전쟁이라도 한 판 터질 태세다.
인도 북부 고원 카슈미르 지방과 이란,티벳,중국,몽고 등지에서 생산되는 산양털 섬유 '캐시미어(Cashmere)' 와 인도(파키스탄,중국분쟁지역) '카슈미르Kashmir)지방'과는 상관이 있을까? 결론부터 말하면, 밀접한 관계가 있다. 어쩜 카슈미르 지방에 주로 산 캐시미어 란 산양의 종(種)이 이 지명에서 유래했을지 싶어 찾아보니, 'The word cashmere is an old spelling of Kashmir'.라고 써져 있다. [Cashmere=Kashmir]
우선 현재는 인도,파티스탄,중국이 국경갈등 중인 카슈미르 지역부터 자료를 참고하여 보자면, 현재 인도 와 파키스탄 카슈미르지역은 지금도 서로 무력충돌이 있다. 여기에 인도와 중국과 군사적 충돌도 발생한다. 아래 자료에 인도와 파키스탄은 영국으로부터 독립과정에서 발생된 문제며, 한일간 독도분쟁에 비유될 수 있는 중국,인도 분쟁은 영국이 청나라와 벌인 아편전쟁(1840~1842년)에서 승리한 후, 인도를 완전 지배하게 된 1850년 대 이후 청나라땅을 인도에 귀속시킨 다음, 인도 독립으로 인도땅이 되었으나 중국이 자국 영토로 주장한 지역이다. 구글 지도에 아직 국경이 불확실한 점선으로 표시돼 있다.(지도 참고)
[자료 : 카슈미르는 인도와 중국, 파키스탄의 경계에 있는 산악 지대이다. 1846년부터 힌두교 정권이 이곳을 지배하였지만, 주민의 다수는 이슬람교도였다. 1947년 영국이 인도에서 철수할 때 인도 반도는 인도와 파키스탄 두 나라로 분리 독립되었다. 이때 카슈미르는 주민의 대부분이 이슬람교도라서 파키스탄에 편입되기를 바랐으나 카슈미르의 지도자 하리 싱은 힌두교도였기 때문에 주민들의 바람과는 반대로 인도로 편입할 것을 결정하였다. 이에 카슈미르의 이슬람교도들이 폭동을 일으켰고 하리 싱은 인도에 지원 요청을 하였는데, 이것이 제1차 인도-파키스탄 전쟁이다.
1949년 유엔은 휴전을 선언하였고, 카슈미르는 두 지역으로 분할되어 북부는 아자드카슈미르로 파키스탄령, 남부는 잠무카슈미르로 인도령이 되었다. 이후 인도는 카슈미르 전체를 인도 영토라고 주장하면서 반환을 요구하고 있어 지금까지 분쟁은 계속되고 있다. 이같이 복잡한 상황에서 중국이 끼어들었다. 1962년 말 중국은 카슈미르의 동쪽을 침공하여 아크사이친 지역을 중국의 영토로 편입시켜 버렸다. 그리하여 카슈미르는 인도령, 파키스탄령, 중국령 3곳으로 갈라져 현재에 이른다.]
그런가 하면, 1979년엔 중국-파키스탄 고속도로가 뚫여 세계에서 가장 높은 국가간 도로로 불린다. 이름하여 '카라코람 하이웨이(Karakoram Highway, KKH)' - (China-Pakistan Friendship Highway). 이 도로는 파미르고원과 아프카니스탄 남쪽 지역과 히말라야산맥 서쪽에 있는 카라코람산맥 지역을 통과한, 공식 고도 해발 4,693미터(15,397ft)인 쿤자랍 고개(쿤제랍패스Khunjerab Pass)를 넘어 중국과 파키스탄을 연결한다. 옛날 실크로드 중 하나인 이 도로는 중국신장 웨이우얼 자치구의 카슈가르(카스)에서 시작하여 파키스탄의 아보타바드(Abbottabad)까지 1,300Km(파키스탄 887km, 중국 413km). 1959년에 착공해서 20년 공사 끝에 1979년 공식적으로 운행을 시작했으며 도로 공사중 산사태와 추락으로 810명의 파키스탄 노동자와 200명의 중국 노동자가 목숨을 잃었다,고 한다(아래 이슬라마바드 에서부터 표시된 도로 지도 참고). 참고로 KKH가 관통한 카라코람산맥에는 히말라야 14좌(8,000미터 이상) 중 제2봉 K2가 있으며 9번째 낭가파르바트 도 있다.
= 아래 자료 검색 들 참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등에 따르면, 캐시미어(cashmere)는 인도북부 카슈미르(Kashmir)지방에서 나는 캐시미어 산양(Cashmere Goat)의 털실로 짠 부드러운 능직물이다. 보온성이 좋고 윤기가 있어 코트, 스웨터, 드레스, 스카프 등을 만드는 데 쓰인다. Cashmere=Kashmir 인 고로, 캐시미어 와 카슈미르 를 혼용해도 된다.
- 캐시미어(카슈미르)의 뜻, '섬유의 보석’
최근 쌀쌀한 날씨로 접어들면서 캐시미어의 뜻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캐시미어(카슈미르)는 인도 서북부 카슈미르(캐시미어) 지방에서 나는 캐시미어 산양털로 짠 고급 모직물을 뜻한다. 겉은 부드럽고 윤기가 흐르면서도 보온성이 좋아 주로 고급 의류의 옷감으로 사용된다.
-티베트, 인도 북부, 이란, 이라크, 중국 남서부 등지에서 사육되는 캐시미어 산양으로부터 얻는 헤어 섬유로서, 다른 수모와 달리 전모하는 것이 아니라 6~7월에 손으로 빗어서 떨어지는 털을 모아 사용한다. 주로 산양의 몸 표면에 나와 있는 무겁고 거칠며 긴 아우터 헤어(outer hair) 안에 있는 곱고 부드러운 언더코트(undercoat)를 가리킨다. 캐시미어는 부드럽고 가볍고 고상한 광택을 지닌다. 그러나 강도가 약하고 방적성이 나빠 양모를 20~30% 섞어서 방적하는 것이 보통이다.
-캐시미어 산양에서 얻는 양모. 특수모섬유라고 하는 직물 섬유에 속한다. 아주 부드러운 양모섬유를 캐시미어라고 잘못 부르기도 하지만, 원래는 캐시미어 산양에서 얻는 섬유만이 진짜 캐시미어이다.
-아시아의 일부 지역에서 파슘 또는 파슈미나로 알려진 이 섬유는, 인도의 카슈미르 지역에서 이것을 이용하여 아름다운 숄과 기타 수제품을 생산하면서 유명해졌다. 카슈미르 숄은 19세기초에 큰 인기를 얻었으며, 잉글랜드, 프랑스, 스코틀랜드의 페이즐리에서 진품을 모방하여 숄을 생산했다.
-캐시미어 산양이 지닌 보호용 아우터코트는 길이가 4~20㎝인 거친 섬유이다. 솜털 같은 언더코트는 보통 캐시미어라고 부르는 부드럽고 섬세한 섬유이며, 길이는 2~9㎝이다. 대부분의 캐시미어는 털갈이하는 철 동안에 뽑아내거나 손으로 빗질하여 얻는다. 그러나 이란산 캐시미어는 가위로 잘라서 얻는다. 산양 1마리가 1년 동안 생산할 수 있는 털의 양은 수십g에서 0.5㎏ 정도이다.
스웨터 1벌을 만들기 위해서는 4~6마리의 산양털이 필요하고 오버코트 1벌을 만들려면 30~40마리의 산양이 필요하다. 풀드 캐시미어(pulled cashmere)는 도살한 산양에서 얻은 털을 말한다. 지방분이나 풀 부스러기 같은 오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털을 씻어주어야 한다. 거친 털은 기계를 이용한 다양한 털 제거공정을 통해 제거되는데, 이 공정은 각 사육자만의 비밀로 지켜질 때가 많다. 이 같은 공정을 거치게 되면 최종 생산량은 처음의 약 50%로 감소된다.
남아 있는 거친 털의 양으로 털의 가격을 결정하게 되는데, 거친 털의 양이 적을수록 높은 값을 받는다. 질이 우수한 코트용 캐시미어 섬유는 보통 거친 털을 5% 미만 함유하며, 양질의 스웨터용은 1% 미만 함유한다. 섬세한 섬유의 표피를 형성하는 스케일 층은 양모 섬유보다 뚜렷하지는 않지만 모헤어 섬유보다는 확실히 구분된다. 홈이 나 있는 내섬유층에는 섬유의 색상을 내는 다양한 종류의 색소가 들어 있다.
캐시미어 섬유의 지름은 질이 가장 좋은 양모 섬유의 것보다 더 작다. 중국산과 몽골산 캐시미어 산양의 섬유 지름은 14.5~16.5μm(미크로미터, 10m)이고, 이란산은 17.5~19.5μm이다. 색상은 회색이나 황갈색이 보통이지만, 흰색에서부터 검은색까지 다양하다. 캐시미어 섬유로 만든 직물은 보온성이 좋고 편안하며, 뛰어난 드레이프성과 부드러운 질감을 지닌다.
흡습성은 양모 섬유만큼 크지만 섬세한 양모 섬유보다는 물에 다소 약하고, 모헤어 섬유보다 크게 약한 편이다. 강한 알칼리와 높은 온도에 의해 크게 손상 받는다. 밝은 색상을 얻기 위해 어두운 색상의 섬유를 표백할 경우 강도와 부드러움이 감소된다. 마모가 쉽고 표면에 보풀이 잘 일어나기 때문에 니트웨어로는 문제점이 있다.
캐시미어는 주로 고급 코트와 드레스·슈트·니트웨어·양말류 등을 만드는 데 쓰인다. 때로는 다른 섬유와 혼방해서 쓰기도 한다. 부드러운 솜털에서 분리해낸 거친 털은 곡식자루·밧줄·담요·텐트 등을 만드는 데 일부 쓰이고 있다. 세계적으로 볼 때 생산량이 적고 모아서 처리하는 공정에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캐시미어는 값이 비싼 섬유에 속한다. 수요와 가격은 유행에 따라 달라진다. 질감과 섬세도가 비슷한 인조섬유가 훨씬 싼 가격에 생산되어 경쟁을 벌이고 있다. 주요생산국은 중국·몽골·이란이고, 인도·아프가니스탄·터키 등에서도 생산되고 있다. 주요소비국은 미국·영국·일본 등이다.
[NEWStory makes History - 서울포스트.seoulpost.co.kr]
'서울포스트' 태그와 함께 (상업목적 외) 전재·복사·배포 허용 (*포털 다음 에 뉴스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