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상반기를 장식한 '유로 2008'에서 44년만에 스페인이 정상에 올랐다. 올림픽, 월드컵에서 항상 우승 후보로 거론된 스페인의 이번 우승은 향후 지구촌 스포츠(특히 축구)의 향배를 가늠하기에 충분하다.
수영과 체조 등 일부 종목을 제외하고는 이미 스포츠는 흑인의 경기나 마찬가지다. 백인은 구단을 운영하거나 프로모션 또는 투자자로서 그 역할이 분명해졌다. 미국 메이저리그 탄생도 배팅하고 놀음하기 좋아하는 백인과 스포츠를 통한 신분상승의 흑인의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진 결과다. 그 이전 이미 힘과 기교에서의 대결은 백인이 흑인을 따라갈 수 없었다.
그럼 독일이 발락 징크스라 할 수 있는 만년 준우승이란 뛰어난(?) 성적을 뭐라 설명할 수 있을까,가 관건이지만 2002한일 월드컵에서 보았듯 독일은 전후 민족부흥기의 독일이 아님이 곳곳에서 증명되었다. 이미 전차군단 앞에 '녹슨'이라는 수식어가 따라다닌지 오래다. 8강이나 16강을 가리는 경기가 리그방식이 아니었다면 독일은 이미 세계 축구에서 중하위에 머무는 전력임이 들어났다.
아프리카 돌풍속에는 나이지리아 나 가나 가 있다. 프랑스 의 앙리 나 지단 은 아프리카 흑인 피가 흐른다. 2008유로컵에서도 아프리카에 근접한 지중해권의 국가가 상상외로 선전했다. 특히 터키는 향후 유럽축구의 판도를 바꿀 수 있는 다크호스다.
종합하자면 신체구조상 다음의 A와 B는 공유하기 힘든고로, 세계축구는 (체력과 지구력을 상수 C로 놓고) 'A: 힘과 조직력'을 'B: 스피드와 기교'가 능가할 것이라는 것이다. A가 백인피의 특징이라면 B는 흑인피의 특징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미 남미는 흑인계가 주류를 이루고 유럽도 그 범위를 넓혀 가 스페인, 포르투칼, 이태리, 프랑스, 그리스, 터키 등이 혼혈성의 특징이 나타났고 남은 독일, 네델란드, 영국, 동북유럽권, 북미권이 백인축구의 보루로 남아 있는 실정이다.
이제 2010년 남아공 월드컵 아시아 예선전의 조편성도 끝났다. 한국, 사우디, 이란, UAE, 북한과 한 조를 이룬 이번 대회에서 한국이 본선진출 연속을 이어갈 지 관심이다.
그간 한국축구는 2002한일 월드컵을 정점으로 기술력도 국민의 관심도 소강국면에 있다. 감독과 코칭스텝도 경기력 향상에 무엇이 적합한지를 모르고 허둥대는 현실을 볼 때, 국제무대에서의 우리 축구의 앞날이 결코 밝지만은 않아 보인다. 이 점에서 전 대한축구협회 박준홍 회장의 본지 기고문은 한국축구의 미래를 두고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하겠다.
기사송고: 1. 대한축구협회 2. 국제축구연맹(FIFA) 3. 독일축구협회(DFB) 4. 유럽축구연맹(UEFA)
(양기용)
[NEWStory makes History - 서울포스트.seoulpost.co.kr] 서울포스트 태그와 함께 상업목적 외에 전재·복사·배포 허용
[기고] 한국축구 7연속 월드컵 본선 진출..'문제는 체력이다!'
한국이 월드� 본선에서 16강에 들어보지도 못하고 또 월드� 본선에서 단 1승도 거두지 못했던 기억을 가진 지난 2002년 한일 월드�에서 히딩크가 이끄는 한국팀은 세계적인 강호들을 차례로 물리치고 4강에 이르는 기적을 연출해냈다.
히딩크는 월드컵 2년전에 한국팀의 사령탑을 맡으면서 유럽의 강호들과 친선경기를 통해 한국팀의 평가와 선수들에게 유럽팀에 대한 공포를 씻어주는 훈련을 해온 것이다. 그런 훈련을 해오는 동안 한국팀은 프랑스에 5대0, 유고에 5대0으로 대패하는 바람에 한국팀의 별명은 오대영이라는 치욕적인 명예를 걸머지게 되었다. 그러는 동안 한국팀은 그런 오명에 아랑곳하지않고 끈질기게 훈련에 몰두하였다.
이 과정에서 우리가 눈여겨 봐야 될 것은 바로 히딩크의 훈련 방법이다. 히딩크는 먼저 체력 강화 훈련에 몰두하였다. 많은 축구인들은 우리나라에 프로축구가 도입되어 선수들이 자기체력관리를 철저히 해왔기 때문에 별다른 체력 강화훈련을 하지 않아도 체력이 미흡하지는 않다는 인식을 지니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히딩크는 집념을 가지고 체력 강화훈련에 몰두하였다. 그런 체력훈련은 결국 5대0이라는 치욕적인 패배를 감수해야만 했던 팀에게 한두골정도만 허락하는 강한 수비력을 지니게 하였고 그런 강한 수비력을 지니게 된 우리나라는 그 수비력을 바탕으로 월드컵 4강 신화를 창조하게 되었다.
그러나 2002년이 끝나고 난뒤의 한국팀의 현주소는 역시 체력이 다시 문제인 셈이다.한국팀은 체력이 강한팀에게는 제대로 실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치명적인 약점을 다시 노출하였다. 2006년의 월드컵에서 스위스에 그러했고 스웨덴에 그러했듯이 체력이 강하면서 특별히 기술이 뛰어나지 않은 팀에게 약한 면모를 보여왔다.
2002년에 우리팀이 폴란드. 이태리. 스페인 등의 강호를 물리치게 된 것은 홈팀의 이점이나 행운이 아니라 확실한 체력우위의 바탕에서 끈질긴 수비를 구사해 온 결과였다는 사실이 확실하게 증명이 된 셈이다.
지금 우리는 2달안에 엄청난 체력강화 훈련을 해야 한다. 어떤 경우라도 선수를 소집하여 소속구단에 풀어주는 일이 없이 혹독한 훈련을 시켜서 유럽선수들이 깜짝놀랄 체력으로 무장되어 있어야 한다. 그런 체력이 바탕이 되면 우리팀의 수비를 어떤 강력한 팀이라도 쉽게 뚫을 수 없을 것이다.
우리가 강한 체력을 보유한 팀을 만들면 사우디나 이란은 쉽게 물리칠 수 있으며 본선에서 다시 한번 세계를 깜짝 놀라게 하는 한국팀이 될 것이다.
2008년 6월 27일 전 대한축구협회 회장 박준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