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항간에서는, 내년에 김정일을 초청하여 요란한 분위기를 조성한 후 연방제 합의와 함께 통일을 빙자한 헌정중단이 있을지 모른다는 이야기가 떠돌고 있다.’ 9일 대 정부 질문에서 김학원 의원이 한 말이다.
공성진 의원은 이날 개인성명을 통해 ‘김정일이 대북 퍼주기를 약속 받는 대신, 내년 상반기 중 남북정상회담 수용으로, 현 정권에 –평화세력-이라는 월계관을 씌어 주는 시나리오가 있다’고 주장했다.
같은날 한 인터냇 신문에서는, ‘노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신뢰를 받는 핵심 인사들이 북한 핵실험 후인 10월 중순 베이징에서 접촉한데 이어 10월 하순 제3의 장소에서 회담을 갖고, 6자회담 복귀 일정 및 향후 정상회담 추진 등을 의제로 폭 넓은 의제를 다루었다’고 보도했다. 비밀특사로는 노통 측근 안희정씨 이름도 나온다. 그는 북측 고위 인사와 2 – 3 차례 만났다는 것이다. 또 친 노 직계 L의원도 국정감사 기간 동안 북측 고위 인사와 접촉했다는 설도 있다.
이해찬 전 총리가 정무특보에 발탁된 이유도, 남북 정상회담 추진과 관련돼 있다는 설도 유포되고 있다. ‘남북 정상회담이 성사되기 위해서는 김대중 전 대통령의 역할이 필요한데, 노통과 김 전 대통령령 사이의 메신저 역할을 할만한 사람이 이 전 총리 말고는 없다’고 단언하는 정치인도 있다. 지난 4일, 노통이 동교동을 찾은 것도 이와 같은 맥락이라고 전한다.
이상 내용의 ‘설’ 가운데 어느 정도 진실이 담겨있는지 관계자들 외에는 아무도 정확히 모른다. 그러나, 북한 핵실험 직후 ‘이제 포용정책을 더 이상 고집할 수 없게 되었다’며, 무엇인가 대북 강경책을 내 놓을 듯 하던 노통이 단 하루도 지나지 않아서 ‘포용정책은 계속되어야 한다’로 급 선회한 것은 ‘정상회담’ 추진과 결코 무관해 보이지 않는다.
노통은 왜 이다지도 김정일을 못 만나서 안달하는 것일까? 연방제 합의? 헌정중단? 기어이 민족 반역행위를 하고 말 것인가? 스스로 역사의 죄인이 되고 싶은가?
김정일이 서울에 오면 누구에게 맞아 죽을지도 모르며, 노통이 북에서 민의를 배반하고 자기 멋대로 ‘연방제 합의’를 하고 오면, 서울에 발도 들여 놓기 전에 무슨 일이 일어날지 아무도 장담할 수 없다는 것을 알아야 할 것이다.
▣ 재미교포 자유기고가 심 천 | |